상화작용적 요인
나와 너는 각기 독특한 대인동기, 대인신념, 대인기술을 지닌 상태에서 만나게 됩니다. 독특하고 고유한 개성을 지닌 나와 너가 만나서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관계를 맺어 나갑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두 사람이 주고 받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동을 구성되는 의사소통의 과정입니다.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나와 너는 여러 가지 생각과 느낌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대인지각, 대인사고, 대인감정 그리고 대인행동 등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알아보기로 합시다.
1. 대인지각
우리는 매일 여러 사람과 만나면서 그 때마다 만나는 사람의 내면적 속성에 대해서 판단합니다. 이러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대방의 행동을 예측하고 나의 행동을 결정합니다. 이렇듯 상대방의 속성에 대한 지각은 대인행동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며, 사회심리학에서는 대인지각이라고 합니다. 대인지각을 이해하기 위해 인상형성과 귀인과정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인상형성
일반적으로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전해 들은 소수의 정보나 관찰 가능한 몇 가지의 정보로부터 매우 신속하게 어떤 사람의 내면까지도 추측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몇 가지 행동이나 외모 등을 근거로 하여 첫인상이 형성되거나 성격특성이 추론되면 이들은 스스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처럼 먼저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들어온 정보보다 전반적인 인상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초두효과라고 합니다. 첫인상이 이렇게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 번째 이유는 처음에 들어온 정보가 나중에 들어오는 정보들을 해석하는 지침을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머리가 좋다'는 것을 알기 이전에 '성실한 사람' 이라는 첫인상을 가지고 있었을 때와 '이기적인 사람'이라는 인상을 가졌을 때는 머리 좋은 것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해석합니다. 즉, 성실한 사람이 머리가 좋으면 머리 좋은 것을 '똑똑하고 지혜로운 것'으로 해석합니다. 그러나 이기적인 사람이 머리가 좋은 것은 '교활하고 나쁜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 흔히 이를 맥락효과라고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이유는 인상을 형성해 놓지 않으면 상대방을 판단하기 위해 매번 모든 정보에 신경을 써야 하지만, 일단 상대에 대한 첫인상이 형성되면 그 후에 들어오는 정보들은 더 이상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초두효과와는 반대로 시간적으로 나중에 제시된 정보가 잘 기억되어 인상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를 신근성 효과라고 합니다. 가령, 초기 정보가 너무 일찍 제시되어 이미 망각된 상태이거나 최근의 정보가 아주 현저하게 부각될 경우에만 나타납니다.
*인상형성에 사용되는 정보
우리가 누군가를 만났을 때 그 사람의 외면보다는 내면을 중시한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 관찰되는 정보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타인의 인상을 형성하기 위해 우리는 감각기관을 통해 전달되는 관찰 가능한 몇가지 정보에 의존합니다. 외모, 옷차림과 치장, 언어적 진술, 비언어적 단서들 등이 인상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외모 : 어떤 사람에 대해서 알려고 할 때, 가장 먼저 사용되는 정보는 그 사람의 외모입니다. 흔히 '책표지로 책을 판단하지 말라' 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체격이나 체형, 키, 몸무게, 피부색, 머리색이나 건강상태 등의 신체적 특성들은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옷차림과 치장 : '옷이 날개'라는 말이 있듯이, 옷은 사람의 몸을 가장 넓게 덮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 입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상을 다르게 형성하도록 만듭니다. 아주 잘 차려입은 최고급의 상은 보석이나 자동차와 같이 우리의 사회적 권위를 대변해 주며 첫인상의 형성에 중요합니다. 특히 고급 승용차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언어적 진술 : 다른 사람에 대한 또 다른 명확한 정보는 그들이 말하는 내용과 방식입니다. 사람들은 상대방이 스스로에 대해 어떻게 말하는지에 따라 다른 인상을 형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입만 열면 다른 사람을 험담하는 반면, 또 다른 사람은 웬만하면 좋은 점을 말하거나 '그럴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전자는 비판적이고 불평불만이 많은 사람이고, 후자는 낙천적이며 호의적인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게 될 것입니다. 말의 내용 뿐만 아니라 말하는 방식 역시 그 사람의 인상에 영향을 미칩니다. 말을 더듬고 말의 속도가 빠르며 높은 톤의 말을 하는 사람들은 성격이 급하거나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인상을 주게 되는 반면, 말을 또박또박 천천히 하면서도 조용히 말하는 사람은 침착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게 됩니다.
-비언어적 단서들 : 타인에 대한 정보의 또 다른 원천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입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지를 관찰하고 그 사람을 판단합니다. 사람들이 늘 자신의 내면을 말로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보고 상대방을 판단합니다. 이런 행동의 내용과 함께 행동방식 역시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얼굴표정, 시선, 신체언어, 몸짓 등은 언어적 표현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언어적 표현이나 행동단서에 비해 비언어적인 메시지들은 상대적으로 언어적인 조작이 어렵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