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혼과 인간관계_1

by 너가 주인공 2023. 9. 14.

1. 결혼의 의미

결혼은 사회적으로 인정된 남녀 한 쌍의 정신적, 육체적 결합이자 가정 형성의 기본이 됩니다. 개인적 측면에서 결혼은 인간에게 정서적 안정과 성적 만족을 줍니다. 사회적 측면에서 결혼은 성 질서와 종족 보존을 통해 사회 안정에 기여하며, 사회문화를 계승합니다. 나아가 결혼은 인간이 독립된 개체로서 부부, 부모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보다 성숙한 인격 완성에 이르는 여정이며 삶의 궁극적 목적인 자아실현의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첫째, 결혼은 사랑의 실현입니다. 현대의 결혼 욕구 중 가장 강한 동기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어서입니다. 따라서 결혼을 통해 합법적으로 떳떳하게 함께 살고 결혼생활을 통해 성숙한 사랑을 맺어나갑니다.

둘째, 결혼을 통해 성적관계의 합법성을 부여받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성숙한 남녀는 생물학적으로 성욕구를 표현하게 되는데, 이것에 대해서 사회가 합법적으로 인정하고 성관계를 허용하는 제도가 바로 결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셋째, 결혼을 통해 남녀 간의 경제적 협력이 가능함으로 경제적 안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 한 조사에서도 미혼 직장인의 91.3% 가 맞벌이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기혼 직장인의 85.7% 보다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배우자를 선택할 때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업을 가진 여성 혹은 안정된 직장을 가진 남성을 좋은 배우자의 조건으로 보는 것이 이와 관련됩니다.

넷째, 결혼을 통해 자녀를 출산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전통사회에서 결혼은 자녀 출산과 가계 계승의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였습니다. 오늘날에도 적절한 시기에 자녀를 갖고 싶은 욕구도 결혼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다섯째, 결혼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이룰 수 있습니다. 개인은 여러 사람에게서보다 각별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더 친밀한 일대일의 관계를 유지시켜, 이를 통하여 자신의 정서적인 욕구가 충족되기를 바라기도 합니다.

여섯째, 진정한 어른이라는 신분을 획득합니다. 결혼을 통하여 부모로부터 독립하고 독립된 신분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결혼을 하려는 욕구가 작용합니다. 특히 우리 사회는 결혼을 해야 진정한 어른으로서 대접을 해 주는 의식이 강합니다.

일곱째, 결혼을 통해 사회적 기대에 부합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가족주의가 강한 우리 나라에서는 적절한 시기에 결혼을 하지 않고 있으면 주위 사람이나 환경으로부터 압력을 받게 됩니다.

결국 결혼은 인간의 요구와 의무 간의 균형을 잘 유지하고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며 , 이를 통해 성숙된 인격체로 완성되어 가는 인생의 중대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결혼의 과정

수많은 이성 중에서 한 사람의 결혼 상대자를 만나는 과정은 가히 운명적이라고 할 만큼 신비롭고 놀랍습니다. 이렇게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은 직업을 선택하는 것 이상으로 어렵고도 중요한 선택과제입니다.

Cleveland, Udry 그리고 Kim, Udry는 배우자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정수기 여과망처럼 결혼시장에서 점차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요소들을 찾아 나간다는 여과망 모델을 설정하였습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배우자 선택의 초기단계에서는 인종, 연령,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지위, 종교와 같은 사회적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후 관계가 점차 진전되면서 가치관, 인생관, 흥미, 관심사와 같은 개인적 특성의 공유와 공감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더욱 친밀한 관계로 진행되어 약혼이나 결혼을 생각하는 단계에 이르면, 상호보완성이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작용합니다.

Udry에 따르면, 결혼 상대자가 선택되기까지 6개의 여과망이 존재합니다. 모든 가능한 결혼 상대자는 이러한 여과망을 하나씩 거치면서 걸러져 그 대상이 좁혀지고 결국 마지막 한 사람을 선택하게 됩니다. 배우자 선택과정에 대한 여과망은 다음과 같은 6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첫째, 근접성 여과망을 통하여 모든 가능한 대상자 가운데 현실적, 지리적으로 쉽게 만날 수 잇는 사람들로 그 대상이 제한됩니다.

둘째, 매력 여과망을 통하여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며 호감을 갖는 사람들로 그 대상은 다시 좁혀집니다. 매력을 느끼는 요인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상대방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에 의해 인성, 외모, 능력 등이 포함됩니다. 처음 만났을 때는 신체적 매력이 호감을 촉진시키는 데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장기간 사귀는 과정에서는 능력이나 성격적인 요인들이 매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사회적 배경 여과망을 통하여 인종, 연령,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 교육 수준 등이 비슷한 커플들끼리 맺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넷째, 상호의견일치 여과망을 통하여 정치, 경제, 사회, 가정에 대한 관점,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태도 등 인생관과 가치관이 유사해서 의견 합치가 이루어진 경우 두 사람은 결혼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다섯째, 상호보완성 여과망을 통하여 상호 간의 욕구와 필요를 서로 충족시켜 줄 수 있고, 어느 한 편의 단점을 다른 편에서 보완해 줄 수 있을 때 결혼 가능성이 증가됩니다.

끝으로, 결혼준비 상태라는 여과망을 통과함으로써 비로소 결혼에 이르게 됩니다.

이와 같이 여러 여과망을 통화했더라도 결혼준비 상태가 되어 있지 않다면 결혼이 성사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면, 아마도 남자는 병역의무를 마치고 대학을 졸업해서 취업한 후, 그리고 여자는 대학을 졸업한 후 혼기에 만난 사람과 결혼할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입니다. 하지만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은 수동적인 과정이 아니며, 자기의지에 의한 능동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외적인 압력이나 순간적이 감정에 의해서 일생의 동반자를 선택해 버린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