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적 요인(대인사고) 2. 대인사고 이 세상에서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없습니다. 우리가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서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없습니다. Adler가 말한 것처럼, 의미란 현상과 사건 혹은 장면 그 자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 장면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결정됩니다. 스토아 철학자인 에픽테토스는 "인간의 정서적 혼란은 그가 경험하고 있는 어떤 사실에 의해서가 아니고, 그 사실에 대해 가지는 관점 때문에 생긴다." 라고 하였습니다. 셰익스피어도 [햄릿]에서 "이 세상에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없다. 다만 생각이 그렇게 만들 뿐이다." 라고 표현했습니다. 특히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서 인간의 의미부여 기능은 더욱 활발해집니다.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의미를 추론하는 과정을 대.. 2023. 11. 7.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적 요인(대인지각) 4) 타인-귀인 과정 귀인(attribution)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사람이 자신의 행동과 타인의 행동, 사건의 원인에 대해서 찾으려는 시도입니다.앞서 다른 장에서도 귀인 문제를 다루었지만 주로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의 원인을 추론하는 자기-귀인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타인의 행동을 해석할 때 거치게 되는 귀인에 초점을 둡니다. 식사 후에 양치를 하는 아들을 보면서 그 이유를 찾지 않으며 강의가 시작되는 시간에 학생들이 왜 강의실에 들어오는지 그 이유를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사람은 모든 잡다한 일의 이유를 찾는 데 에너지를 쓰지 않으며 원인을 찾으려는 시도인 귀인이 촉발되는 데는 반드시 그럴 만한 이유가 존재합니다. *타인-귀인 과정의 촉발시기 : 여러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주변의.. 2023. 11. 7.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적 요인(대인지각) 3) 인상형성의 경향성 어떤 일을 할 때 되도록 최소한의 에너지를 투자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으려고 하듯이, 우리는 타인에 대한 인상형성 과정에서도 이러한 경제적인 방식을 택하려는 인지적 구두쇠(cognitive misers)인지도 모릅니다. 이처럼 우리는 최대한 경제적인 방식으로 한정된 정보처리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지적인 지름길을 선택하게 되고 이것들은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대신 여러 가지 편향과 판단 오류의 근원이 되기도 합니다. *핵심적 성격특성 : 어떤 사람의 성격특성은 다른 특성보다 인상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을 핵심적 특성 (central traits)이라고 합니다. 가령, 우리에게 어떤 사람이 온정적인지 여부는 다른 특성보다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 사람이 말수가 적다는 것은.. 2023. 11. 7.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적 요인(대인지각) 상화작용적 요인 나와 너는 각기 독특한 대인동기, 대인신념, 대인기술을 지닌 상태에서 만나게 됩니다. 독특하고 고유한 개성을 지닌 나와 너가 만나서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관계를 맺어 나갑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두 사람이 주고 받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동을 구성되는 의사소통의 과정입니다.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나와 너는 여러 가지 생각과 느낌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대인지각, 대인사고, 대인감정 그리고 대인행동 등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알아보기로 합시다. 1. 대인지각 우리는 매일 여러 사람과 만나면서 그 때마다 만나는 사람의 내면적 속성에 대해서 판단합니다. 이러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대방의 행동을 예측하고 나의 행동을 결정합니다. 이렇듯 상대방의 속성.. 2023. 11. 7.